[생활코딩] CSS - 박스모델

CSS 의 3번째 강좌를 보고 있다. 박스모델을 본고 있다.

CSS 2강에서 선택자를 보았는데, 선택자라는 것이 그러고 보니, body 부분의 tag 만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 tag 를 예를 들면 상의 라면 그게 런닝셔츠인지, 티셔츠인지, 쟈켓인지 알수가 없다. 그래서 상의라면 모두에게 적용된다.

그래서 CSS 는 각각 구별해서 style 을 적용하고 싶을 때 무엇을 쓸까요? id 를 쓴다.

id pw 의 그 id 가 아니라,.... 저 아래를 보면 id 도 있고, 그것을 css에서는 선택자에서는 # 을 적어서 사용을 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box model 을 배우고 있는데, padding 이라는 것도 있고,


아래는 강의 들으면서 적은 Code 이다. 참고할 때가 있겠지..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ft-8">
      <style>
        #selected {
          border: 5px red dotted;
          padding :30px;
          margin: 50px;
        }
        #extra {
          border: blue 1px solid;
        }
      </style>
  </head>
  <body>
    <ul>
      <li> html </li>
      <li id="selected"> css </li>
      <li id="extra"> javascript </li>
    </ul>
  </body>
</html>

강의 마지막 구글 크롬 개발자 도구에 대해서 설명을 하는 부분이 있다. 이런 부분 배워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언제 공부해서 적어야지. 까먹지 말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Q > 4M 변경과 ECR 의 차이는?

[Ontology] Protege 의 설치

[리튬 배터리] 공정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