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from 2016

[참고] Decision Scientist

어떤 채용정보에 Decision Scientist 에 대한 채용 정보가 올라왔다. 이런 부분에 대한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너무 신기하고, 공부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1. 최적화 및 Data 분석/예측 프로젝트에 Core Technology 제공 - 최적화 모델 및 알로기즘 개발 - 공정 및 시장 관련 data 예측/분석 모델 및 알고리즘 개발 - 해당 분야 상용 tool 기술적 평가 2. Big impact 프로젝트 발굴/수행을 위한 선행 기술 연구 - Mathematical Optimization - Stochastic/Robust Optimization - Machine learning - Applied statistics 3. 과학적 의사 결정 시스템 및 문화 기반 마련 - 과학적 DSS (Decision Support System) 기반 IT infra 구축 리드 - 전사 문화 확산을 위한 활동 수행(e.g. 세미나, 칼럼) 이 공고문 밑에 영어 읽기 유창한 수준. 쓰기 유창한 수준, 말하기 유창한 수준으로 되어 있다. 나두 그러고 싶다. 해당 사이트를 적고 싶으나, 왠지 그러지 않는 게 좋을 것 같고, 기회 있으면 이런 내용을 배우고 싶다. 이런 사람을 채용하려고 공고문을 쓴 사람은 아마 자기가 저런 사람을 채용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한 건가?

[리튬 배터리] SR. CAE ENGINEER - Battery Systems-POW0004465

GM 에서 구하는 채용 공고의 Prefered Qualifications 이다. Strong understanding of Lithium Ion Chemistry related to battery and energy storage systems Ability to design and develop multi-physics testing Ability to analytically determine dynamic coefficients (stiffness, cross-coupling) Multiphysics COMSOL analysis experience is an advantage. Multiphase CFD analysis experience is important ANSYS-Fluent or STAR CCM+ CFD experience Finite Element Analysis experience is important for structures or safety experience using LS-DYNA, ABAQUS, NASTRAN, ANSYS, FLUENT, STAR CCM+, COMSOL, Battery Design Studio, SIMPLORER, TOSCA, MAXWELL, Hypermesh, Unigraphics, UNIX and “C” Programming Working knowledge of thermo-electric technologies and systems design Solid understanding and working knowledge of fundamental physics, equations and numerical methods underpinning all software used Good understanding of instrumentation and test methods used to measure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systems and environ...

[리튬 배터리] 공정에 대해서

http://g-mechs.co.kr/index.php?mid=B04 공정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기 시작하니 너무 많은 세밀한 자료들이 많아서 차마 보기가 어렵다. 그래도 참고는 할 필요가 있으니 이런 자료들을 어딘가에 모아는 두어야 하니, 블로그에 간략히 메모한다.

[리튬 배터리] KUBT.US

아래 리튬 배터리 책을 소개하면서, 공정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다가 적었다. 그래서 구글에서 리튬 배터리 공정에 대해서 검색하였더니, KUBT.US 라는 사이트가 검색되었다. 이제는 너무 흔한 기술이 된 것인가? http://kubt.us/ 자주 가고 공부하자. 세상에 자료는 너무 흔하구나.

[리튬배터리][책소개] Lithium-Ion Batteries: Advances and Applications

Google 에 우연히 Lithium Battery 와 DFMEA, DRBFM을 입력하였다가 구글도서에서 확인한 충격적인 책이다. 반드시 사서, 하루에 한 챕터 씩 읽어서 살이 되고 피가 되어야 할 책이다. 목차를 보면 이 내용이 그렇게 새로운 내용도 아니고, 다 흔한 이미 알려진 내용이기는 하다. 그러나 그 정도의 내용을 저렇게 집대성해서 최근 배터리에 대한 내용들을 포함하는 것은 그리 쉬운일 이다.  게다가 이제는 거의 표준이 되어가고 있는 GM Voltec System 에 대해서도 설명이 되어 있어 매우 훌륭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이전에 Ford F150 차량의 개발에 대한 IEEE 의 논문의 내용에서와 유사한 전기 자동차 개발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도 포함되어 있어, 이차 전지의 재료 -> 전지 -> HEV/PHEV/EV -> Thermal & Electrical Modeling -> BMS -> Module -> Pack -> Vehicle 에 흐르는 전 과정에 대해서 설명이 충실하다.  심지어 안정성 등 배터리 성능에 대한 내용까지 포함되어 있다.  다만 이 도서는 아쉽게도 manufacturing process 에 대한 언급이 빠져있는 점이 아쉽다. 현장에서 양산/생산 하는 사람들만이 알 수 있는 실제 생산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다. 그 부분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면 더 좋겠다.

[생활코딩] CSS - 박스모델

CSS 의 3번째 강좌를 보고 있다. 박스모델을 본고 있다. CSS 2강에서 선택자를 보았는데, 선택자라는 것이 그러고 보니, body 부분의 tag 만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 tag 를 예를 들면 상의 라면 그게 런닝셔츠인지, 티셔츠인지, 쟈켓인지 알수가 없다. 그래서 상의라면 모두에게 적용된다. 그래서 CSS 는 각각 구별해서 style 을 적용하고 싶을 때 무엇을 쓸까요? id 를 쓴다. id pw 의 그 id 가 아니라,.... 저 아래를 보면 id 도 있고, 그것을 css에서는 선택자에서는 # 을 적어서 사용을 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box model 을 배우고 있는데, padding 이라는 것도 있고, 아래는 강의 들으면서 적은 Code 이다. 참고할 때가 있겠지..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ft-8">       <style>         #selected {           border: 5px red dotted;           padding :30px;           margin: 50px;         }         #extra {           border: blue 1px solid;         }       </style>   </head>   <body>     <u...

[생활코딩] CSS - 선택자

어제부터 블로그 했더니, 그냥 재밌기도 하고, 그래서 오늘도 하나 글 쓴다. CSS 어제 공부하고, 오늘 2번째 강의 들었다. CSS 는 HTML 이 Contents에 집중할까, CSS 는 이쁘게 꾸며주는 역활을 한다. 즉 CSS 는 코디다 이말이다. 코디.... 연예인들 옷 이쁘게 입혀주는 사람들 말이다. 그런데 코디들이 옷을 입혀야 하는데 이 코디들 눈이 없다. 그래서 하나 하나 어디에 어떻게 옷을 입혀야 하는지 알려줘야 한다. 그 어디에 해당하는 게 선택자 라는 것이고, 그 선택자에 어떻게에 해당하는 것은 속성(Property) 이다. ㅎㅎㅎ 이렇게 정리하니, 머리에 쏙 들어오는군. <head> <style>       h1 {        color:red;       } </style> <head> 나머지는 또 공부하고 적자.. 이렇게 적다가는 게시물이 백개가 넘겠군.

[재테크] 호갱노노

부동산 고민이다. 집을 사야 할지, 아니면 전세를 살아야 할지. 월세로 전환 해야 할지. 부동산 국토교통부 시세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일이 온나라 넷인가? 거기에 접속하지 않고 호갱노노 라는 사이트에 접속하면 map 으로 시세를 확인 할 수 있다. 좋은 앱인 것 같다. 이런 거 만들줄 알면 좋겠는데, 어떻게 만드는지는 모르겠고, 그냥 사용이나 하자.. 블로그 너무 솔직하게 쓰는 건가?

[Fortran] Diffusion

FORTRAN 은 컴퓨터 언어이다. 2016년 근래에는 가르쳐 주는 곳이 없을 정도로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르쳐 주지 않아도 배워야 할 만큼 중요한 언어이다. 왜냐하면 이 언어는 가장 빠른 계산을 할 수 있는 언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 컴퓨터는 워낙 빨라서 계산은 다 빠르다. 게다가 알파고도 나왔으니.. 그렇다면 왜 배워야 하는 거지? 행렬의 처리가 쉽기 때문에? Diffusion 과 같이 해석을 해야 하는 경우, 행렬 계산을 해야 하는데, 그런 경우에 행렬 계산을 직관적으로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부분을 공부해야 한다. 그래서 google 에서 FORTRAN diffusion 단어로 검색을 해 보았다. 그 중에서 "computation modeling of multicomponent diffusion ..." 문서를 읽고 있다. 영어 읽기가 귀찮다. 영어를 못해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수학을 못해서 그런 것 인지 그것도 아니면 fortran 을 못해서 그런 것인지, 맹공부하자. Diffusion Equation for Predicting Concentration Profiles 부분을 읽어보니, 좋은 내용이 적혀 있다. 1) Fick's raw 이런 말도 있고, 2) thin film 에 대해서 concentraion 이런 용어도 나온다. 대학교 다닐때 전부 유도했던 거 같은데, 유도 하려면 밤을 새워야 겠지. 이젠 수학 공식들도 기억이 나지 않고, .. 3) trigonometric solution 이란 단어도 나온다. 여기에서는 relaxation time 이란 단어도 나온다. diffusion coefficient 는 일반적으로 constant 로 두고 계산하는데, 심지어 function of concentration 이라는 단어도 나온다. 이 때부터 수치해석적으로 계산 하는 것이 나온다. 그리고 multicomponent 에 대한 계산을 위해서 flux 라는 것을 ...

[생활코딩] CSS

하루에 하나라도 공부한다면 1년이면 365개를 아는 거 겠지? 그래서 오늘 공부한 거라도 적고 자야 겠다. 오늘 생활 코딩에서 CSS 를 공부했다. 공부했는데, 기억이 나지 않는다. 갈수록 머리는 나빠지는구나. CSS(Cascading Style Sheets) 의 약어란다. 왜 저런 이름을 가지게 된 걸까? Cascading 은 윈도우에서 화면 정렬이 마치 폭포수 처럼 정렬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작성하려고 하는 문서 상단에 CSS 명령을 적으면 마치 폭포처럼 아래에 나오는 내용에 적용이 되는 것이 아닐까? 인터넷 찾아보니, 그렇게 적혀 있네.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kin&wr_id=2507212 Style 은 무엇일까? 옷 입는 것도 Style, 느낌, 분위기 이런 뜻아닐까? Sheets 는 무엇일까? 시트는 엑셀 시트나 종이를 의미하는 거 같은데, 그러고 보니 Sheet 단수도 아니고, Sheets 복수다. CSS 는 그럼 폭포수 같은 느낌으로 모양을 낸 문서들 이란 뜻인가? 그럼 폭포수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이 속성인 것 같다. CSS 의 문법의 각 해당 속성들 말이다. CSS 는 왜 나오게 된 것일까? 예전엔 HTML 하나로 다 했다. 알아보니, HTML을 꾸며주기가 너무 어렵고 귀찮고, 실수도 많고, 할 일은 많고, 해서 HTML 은 내용(Contents) 에 집중을 하고, CSS 는 꾸며주는 용도로 사용하기로 한 것인다. 즉 HTML 은 실속있는 부분이고, CSS 는 치장하는 악세서리 같은 용도라고 할까? CSS 는 어떻게 사용하는 걸까? 여기서 부터 강의를 잘 안들었다. ㅎㅎ.... 그래서 다시 들었다. style 을 기억하라고 하시네. <!DOCTYPE html> <html> <hea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