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1.kr/articles/?2982064 제목 : UNIST, '초장수명 리튬이차전지 소재개발사업’ 선정 오늘 구글 뉴스에서 이차 전지 라는 Keyword 로 검색한 결과 이 기사가 첫 기사여서 공부로서 기사를 읽어 보았다. 이 기사를 보면, UNIST 는 초장수명 리튬이차전지 소재 및 셀 공정 개발 사업에 선정 되었다고 한다. 4년 간 정부와 울산시, 동서발전으로 부터 56억원의 연구비를 지원 받는다. 56억원을 4년간 지원 받으니, 연간 14억원을 지원받는다. BoT = Battery of things UNIST 산학연 연구센터는 기존보다 2배이상 긴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서 양극/음극/전해액 등 새로운 전지 소재를 혁신 기술을 개발한다. 양극, 음극, 전해질에 있어서 새로운 전지 소재 혁신 기술이라 궁금하다. 목표는 기존 전지보다 2배 이상 긴 수명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한다. 전지의 기존 충방전 횟수를 기존 3,000회에서 2배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제작 단가도 낮출 계획이라고 한다. 2배 수준이라면 6,000회 수준이다. ESS 기기로 Cycle 이 1일 1Cycle 이라고 가정시 3,000 회 수준이라면 대략 10년을 조금 못 미치는 정도(8.22년)이고, 그 2배라면 20년을 조금 못 미치는 수준(16.43년)일 것 같다. 전지 소재의 상용화 및 양산 가능한 셀 공정 기술 -> 서울대(양극), 유미코아(양극), SJ신소재(음극), 천보(전해액) 가속수명 평가법 -> 전기연구원, 명지대 초장수명 전지 셀 -> 삼성 SDI 실증 -> 동서 발전 및 삼성 SDI 사업 총괄 -> 조재필 이차전지 산학연 연구센터장(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평가관리원이 주관하고, 2020년 까지 정부지원 40억, 울산시 12억, 동서발전 4억원을 지원 올해 부터 시작을 하는 것 같다. 이 내용을 영어로 적어보면 어떨까?